









용병 바그너 그룹 무장반란 소식에 '혼비백산'
러와 1300㎞ 넘는 국경선 공유… 취약한 안보
대통령·총리 나서 대책회의… "상황 계속 주시"
러시아에서 용병들이 일으킨 무장반란으로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러시아와 1300㎞ 이상 국경을 접한 이웃나라 핀란드에 비상이 걸렸다. 러시아 정부군과 용병들의 충돌로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하면 러시아 민간인을 비롯한 난민들이 무작정 국경을 넘어 핀란드로 피신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비록 용병들이 반란을 중단하고 벨라루스로 이동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최악의 위기는 모면했으나, 핀란드를 비롯한 러시아 접경국 정부들은 비상 근무에 돌입한 채 사태 전개를 주시하는 모습이다.
사울리 니니스퇴 핀란드 대통령. AP연합뉴스
24일(현지시간) 핀란드 대통령실에 따르면 사울리 니니스퇴 대통령은 이날 토요일인데도 저녁에 내각 핵심 구성원들을 소집해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다. 핀란드는 대통령과 총리가 권력을 분점하는 이원집정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외교와 국방 등 안보 분야는 대통령이 최종 결정권을 행사한다.
회의에는 페테리 오르포 신임 총리를 비롯해 외교장관, 국방장관, 내무장관, 재무장관 등이 참석했으며 정보당국 수장도 함께했다. 대통령실은 “오늘(24일) 하루 있었던 우여곡절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의 상황은 여전히 불분명하다”며 “핀란드는 동맹국 및 이웃나라들과 공조하면서 향후 러시아 내부 동향을 긴밀히 추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핀란드의 안보 상황은 안정적”이라고 덧붙였다.
핀란드는 러시아의 인접국으로 굉장히 긴 국경선을 공유하고 있다. 러시아 국내 상황의 악화로 대규모 난민이 발생하거나 하면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처지다. 실제로 2022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예비군을 동원해 우크라이나 전선으로 보낼 계획을 발표하자 수많은 젊은 남성들이 징집을 피하고자 핀란드 국경을 넘어 탈출을 시도한 사례가 있다.
무엇보다 핀란드는 1939∼1940년 소련(현 러시아)의 침공으로 발생한 겨울전쟁에 져 국토의 약 10분의 1을 빼앗긴 쓰라린 역사가 있다. 핀란드 입장에서 러시아 접경지역은 안보가 가장 취약하기 때문에 철저한 방어가 필요한 곳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후 핀란드가 오랫동안 지켜 온 군사적 중립 노선을 내던지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가입한 것도 바로 이 러시아 접경지역의 안전을 미국 등 서방 국가들로부터 보장받기 위해서였다.
페테리 오르포 신임 핀란드 총리. AFP연합뉴스
핀란드는 외교적으로도 기민하게 움직였다. 러시아 용병기업 바그너 그룹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모스크바 진격 방침을 밝힌 직후 오르포 총리는 카야 칼라스 에스토니아 총리, 크리스야니스 카린스 라트비아 총리와 전화 통화를 갖고 공동 대응책을 논의했다. 두 나라 모두 핀란드와 마찬가지로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오르포 총리는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 마테우슈 모라비에츠키 폴란드 총리와도 전화로 의견을 나눴다.
스웨덴은 아직 아니지만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폴란드는 모두 나토 회원국이자 동맹국이다. 지리적으로 러시아와 가까워 ‘나토의 동부전선’으로 불리는 나라들이다. 러시아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면 가장 먼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만큼 긴밀한 공조와 신속한 대응이 필수적이다.
24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용병기업 바그너 그룹이 앞서 장악했던 러시아 남부 도시 로스토프온돈에서 철수하고 있다. 바그너 그룹은 “유혈충돌을 막기 위해 무장반란을 그만두고 모스크바 진격도 포기한다”고 밝혔다. 로스토프온돈=AFP연합뉴스
한편 바그너 그룹이 모스크바 진격을 포기하면서 러시아 정부군과 용병 간의 충돌 가능성은 일단 희미해진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현지 언론에 따르면 프리고진은 “유혈사태를 피하기 위해 모스크바로 향하던 병력에 기지로 철수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바그너 그룹은 모스크바에서 불과 200㎞ 떨어진 지점까지 진출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푸틴 대통령은 중재자를 자처하고 나선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과 협의한 끝에 프리고진과 그가 이끄는 용병 집단이 벨라루스로 이동하는 경우 안전을 보장하고 형사책임도 묻지 않겠다고 결정했다. 다만 무장반란 위기가 해소된 뒤에도 용병 그룹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러시아 국방부와 군 수뇌부를 겨냥한 대대적 문책이 이뤄지는 등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정규군의 집단 반발 가능성도 제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