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튜브가 동영상 시청 중 온라인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내부 테스트 중이다.
23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유튜브 모회사 구글은 내부 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플레이어블스'(Playables)라는 새로운 기능을 실험하도록 했다"고 보도했다. 유튜브 웹·앱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서비스로, 공으로 벽돌을 부수는 아케이드 게임 '스택 바운스' 등이 포함됐다.
유튜브가 광고 매출이 줄자 새로운 돌파구 마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올 1분기 유튜브 광고 매출은 6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했다. 3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WSJ는 "유튜브가 온라인 게임을 호스팅 하는 것은 광고 매출이 둔화하는 가운데 새로운 성장영역으로 진출하려는 닐 모한 유튜브 CEO 노력의 일환"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유튜브는 "오랫동안 게임에 초점을 맞춰왔다"라며 "우리는 항상 새로운 기능을 실험하고 있지만, 지금은 발표할 내용이 없다"라고 말했다.
세계 최대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위해 직원을 대상으로 내부 테스트를 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유튜브 모회사인 구글은 최근 내부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플레이어블’이라는 새로운 유튜브 게임을 테스트하도록 했다. 제품 스크린샷에 따르면 이용자가 튀는 공으로 벽돌 층을 부수는 아케이드 게임인 ‘스택바운드’와 비슷한 형태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용자는 웹 브라우저의 유튜브 사이트 또는 스마트폰의 유튜브 앱을 통해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유튜브의 게임 사업을 두고 WSJ는 “광고 지출 둔화에 따라 새로운 성장 영역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나온 결과”라고 분석했다. 유튜브는 지난 1분기 67억달러의 광고 매출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한 수치로 3분기 연속 매출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는 이미 게임 스트리밍 영상 시장에서 아마존의 트위치와 함께 경쟁하고 있다. 구글 측은 WSJ에 “게임은 오랫동안 유튜브의 초점 중 하나였다”며 “우리는 항상 새로운 기능을 실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